미국, 체인링크 활용해 경제 데이터 온체인화… 투명성 강화
미국 정부가 GDP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공개하기 위해 Chainlink와 Pyth를 선택한 이유는?
GDP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올리는 것이 투명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경제 데이터 공유에 블록체인을 채택하는 것의 의의는 무엇일까?

- 가계 소비 지출 등 거시지표 온체인화 추진
- 블록체인 경제 데이터로 정부 신뢰도 증대
28일 블록웍스에 따르면 미국 정부가 주요 거시 경제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기록하기 위해 체인링크와 파이스를 활용한다고 밝혔다. 이는 정부 재정 투명성을 높이려는 트럼프 행정부 정책의 일환으로, 상무부와 경제분석국(BEA)이 협력해 추진 중이다.
상무부는 이번 계획에서 국내총생산(GDP) 데이터를 온체인화하기 위해 파이스를 공식 게시자로 선정했다.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에 우호적 입장을 보여온 트럼프 대통령의 방향성 아래, BEA는 체인링크를 통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개인소비지출(PCE) 가격 지수 등 다양한 경제 지표를 블록체인에 업로드할 예정이다.
하워드 루트닉 상무부 장관 대행은 이번 블록체인 기술 도입이 정부 지출의 책임성을 한층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경제 데이터를 누구나 투명하게 접근할 수 있게 되어 미국 정부의 신뢰도가 높아질 것이다"라며 의의를 강조했다.
초기 데이터는 이더리움, 베이스, 아발란체, 아비트럼 등 주요 10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동시 배포된다.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거래 수수료는 암호화폐로 지불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코인베이스, 제미니, 크라켄 등의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가 기술적 지원에 나선다.
블록체인 상에서 경제 데이터가 활용됨에 따라 체인링크와 파이스의 기술적 역할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체인링크는 다양한 블록체인 플랫폼과의 호환성을 통해 경제 데이터 통합을 맡고 있다. 반면, 파이스는 신뢰할 수 있는 원천 데이터를 온체인으로 옮기는 데 주력하고 있어 서로 다른 강점을 보여준다.
2025년 8월 28일(UTC) 15시 9분 기준, 체인링크는 25.36달러로 전일 대비 4.62% 상승했으며, 24시간 거래량 변동률은 약 72.83%로 활발히 거래되었다. 같은 시간 기준으로 파이스는 0.189달러를 기록하며 62.69%의 큰 상승폭을 보였다. 특히 파이스의 24시간 거래 변동률은 눈에 띄는 1,962.84%에 달했다.
결과적으로 이번 발표는 체인링크와 파이스의 수익성과 기술적 영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암호화폐 업계에서는 향후 이들 플랫폼의 데이터 활용 사례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