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토스, 모나드 기술 베꼈다 주장… 모나드 사실 아냐 반박

2025-02-20 07:12

Monad가 정말로 Aptos의 기술을 베꼈을까?

왜 Aptos가 갑자기 Sui를 논쟁에 언급했을까?

이번 논쟁이 블록체인 커뮤니티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앱토스, 모나드 기술 베꼈다 주장… 모나드 사실 아냐 반박

출처: 언블록미디어

- Aptos와 Monad 간의 기술적 유사성 논쟁 - Aptos 연구 책임자와 Monad 공동 창립자 간의 공개 비판 [Unblock Media] 최근 블록체인 업계에서 Aptos 연구 책임자 Alexander Spiegelman과 Monad 공동 창립자 James Hunsaker 간의 논쟁이 화제가 되고 있다. 핵심 쟁점은 Monad가 Aptos의 기술을 참조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논쟁은 단순한 기업 간의 공방을 넘어, 블록체인 생태계 내 기술 공유와 표절 문제를 다시금 조명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논란은 Alexander Spiegelman이 X(Twitter)에 올린 글에서 시작됐다.
그는 "Monad가 Aptos의 기술을 베끼는 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고 있다"며, "모든 것이 오픈 소스로 제공되며, 이미 동료 심사를 거친 논문이 있는 상황에서 Monad가 이를 숨기기보다는 차라리 솔직하게 베끼는 것이 낫다"고 주장했다. 이는 Monad의 주요 기술들이 Aptos의 BlockSTM(Block-Optimistic Concurrency Control), 파이프라이닝 기법, 그리고 Aptos BFT(Blockchain Fault Tolerance)와 상당 부분 유사하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이에 대해 Monad의 공동 창립자 James Hunsaker는 강하게 반박했다.
그는 "당신이 아직 기저귀를 차고 있을 때, 나는 이미 Haskell 환경에서 소프트웨어 트랜잭션 메모리(STM)를 연구하고 있었다"며, "Block-STM은 단순한 확장이며, 나는 Aptos의 코드를 본 적이 없다. 사실 당신이 이런 터무니없는 소문을 퍼뜨리지 않았다면 Aptos를 생각조차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같은 반응은 단순한 기술적 해명을 넘어, Aptos의 주장을 조롱하는 듯한 어조를 띠고 있다. 이로 인해 논쟁은 더욱 격화되었으며, 커뮤니티에서는 Monad가 정말로 Aptos의 기술을 참조하지 않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업계 전문가들은 Monad의 기술이 Aptos와 상당 부분 유사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Aptos의 BlockSTM은 Optimistic Concurrency Control 기법을 활용해 높은 처리량을 제공하는 기술이며, 이는 Monad가 강조하는 병렬 실행 모델과 매우 흡사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Aptos의 BlockSTM은 트랜잭션을 병렬로 처리하여 높은 처리량을 달성하는 기술로, 낙관적 동시성 제어를 통해 트랜잭션 간의 충돌을 최소화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Monad 역시 유사한 병렬 실행 모델을 채택하여 성능 향상을 추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확장성을 증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Movement는 관련 논문과 연구를 명확히 참조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술적 신뢰성을 구축하고 있다. 예를 들어, 'Reparo: Publicly Verifiable Layer to Repair Blockchains' 논문은 블록체인의 수정 가능성을 다루고 있으며, Movement는 이러한 연구를 기반으로 기술적 구현을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Movement는 기술적 기여를 명확히 밝히는 방식으로 투명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프로젝트의 신뢰성을 높이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반면, Monad는 유사한 기술을 활용하면서도 Aptos에 대한 명시적 언급을 피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어 논란이 커지고 있다. 흥미로운 점은, 논쟁이 Monad와 Aptos 사이에서 벌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Aptos 측에서 갑자기 Sui를 언급하며 불만을 제기했다는 점이다. Alexander Spiegelman은 "Sui는 아무도 참고하지 않는데 왜 우리만 문제 삼느냐"는 식의 발언을 했다. 그러나 이는 Aptos 내부에서 Sui에 대한 경쟁 심리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Sui의 zkLogin이나 Narwhal-Bullshark 기술은 다양한 논문과 연구를 참조하여 발전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IOTA, IKA, Talus 등의 프로젝트에서도 일부 기술을 참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 Aptos가 Sui를 비판하는 것은 오히려 조사의 부족을 드러내는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또한, Sui 커뮤니티는 이번 논쟁을 지켜보며 상대적으로 경쟁사들이 서로 비판하는 사이 Sui가 수혜를 입는 상황을 즐기는 분위기다. 이번 논쟁은 단순히 Monad와 Aptos 간의 갈등을 넘어, 블록체인 업계에서 기술적 영감을 어디까지 인정하고 오픈 소스 기술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논의를 촉발했다. Monad가 Aptos의 기술을 참고했을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만, 이를 전혀 인정하지 않는 태도는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Aptos 또한 논쟁 과정에서 갑자기 Sui를 언급하며 본질과 다른 방향으로 이슈를 확장하려는 태도를 보였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Movement와 Sui 같은 프로젝트들은 기술적 레퍼런스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으며, 이는 신뢰를 구축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장기적으로, 이러한 논쟁은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오픈 소스 기술의 공유와 공정한 기여 문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픈 소스 커뮤니티 내에서 명확한 기여 가이드라인을 수립하고, 기술적 참조와 인용에 대한 표준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프로젝트 간의 원활한 소통과 협업을 통해 불필요한 오해와 갈등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 논쟁이 향후 블록체인 기술 개발과 생태계 조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그리고 Monad가 앞으로도 Aptos와의 기술적 유사성을 계속 부인할 것인지 귀추가 주목된다.
기사 정보
카테고리
웹3
발행일
2025-02-20 07:12
NFT ID
뉴스 NFT 상세
최신소식을 메일로 받아보세요.

추천 뉴스

Chat with AI agents

unblock media floating buttonunblock media floating buttonunblock media floating buttonunblock media floating buttonunblock media floating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