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중앙 금융 대중화의 해답, '초구조'와 '슈퍼앱'의 가능성

- 복잡한 DeFi 환경을 간소화할 '초구조'와 '슈퍼앱' 개념 제안.
- 사용자 친화적인 시스템과 지속 가능성에 초점.
4일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슈퍼폼(Superform)의 공동 창립자 겸 CEO인 비크람 아룬(Vikram Arun)이 기고문을 통해 탈중앙화 금융(DeFi)의 대중화를 위한 두 가지 혁신적 개념인 '초구조(Hyperstructure)'와 '슈퍼앱(Superapp)'을 제안했다. 그는 DeFi의 구조적 복잡성과 사용자 경험의 어려움이 대중적인 확산을 저해하는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할 새로운 접근 방안을 논의했다.
비크람 아룬은 현재 탈중앙화 금융 생태계가 제한적인 사용자 편의성 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초구조를 "특정 소유자가 없는 채 개방적이고 지속 가능하게 운영되는 프로토콜 기반의 인프라"로 정의하며, 유니스왑(Uniswap)이나 이더리움 네임 서비스(ENS) 같은 사례를 들어 설명했다. 이러한 프로토콜은 누구나 참여하고 개선할 수 있는 개방성과 탈중앙화를 지향하므로, 지속 가능한 DeFi 생태계의 핵심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슈퍼앱은 이러한 초구조 위에 구축된 통합형 애플리케이션이다. 이는 파편화된 DeFi 환경을 조정하고 간소화하는 데 기여한다. 슈퍼앱은 사용자가 여러 앱과 플랫폼 간에 자산을 번거롭게 관리해야 하는 불편을 덜어준다. 동시에 단순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대중적인 접근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춘다. 비크람 아룬은 이를 자동차의 엔진(초구조)과 차체(슈퍼앱)에 비유하며, 두 요소의 조합이 DeFi의 진정한 발전 가능성을 실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과정에서 DeFi의 핵심 가치인 탈중앙화가 훼손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을 특히 강조했다. 이에 따라 초구조는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는 중요한 요소로 기능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비크람 아룬은 이 두 개념이 DeFi를 단순히 기술 혁신의 단계에 머무르게 하지 않고, 대중이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금융 시스템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필수적인 방향성을 제시한다고 평가했다.
한편, 같은 날 코인 마켓의 주요 종목 동향도 주목된다. 4일 16시 19분(UTC) 기준 유니스왑(UNI)은 11.05달러로 전일 대비 9.587% 상승했다. 또한, 한 달간 44.131%의 가치 상승을 기록하며 꾸준히 시장 점유율을 확대한다. 커브(CRV) 역시 0.454달러로 전일 대비 0.208% 하락했으며, 최근 한 달 동안 1.71% 상승이라는 인상적인 성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탈중앙 금융의 대중화는 초구조와 슈퍼앱 같은 혁신적인 해법을 통해 가능하다. 동시에 지속적인 기술 발전도 필수적이다. 앞으로 DeFi가 보다 폭넓은 사용자층과 연결되기 위해서는, 더욱 직관적이고 통합적인 접근이 중요한 과제로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