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보안 기업 비트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기업공개 비공개 신청으로 제도권 진입 본격화>


<암호화폐 보안 기업 비트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기업공개 비공개 신청으로 제도권 진입 본격화>
출처: 언블록 미디어
  • 비트고(BitGo), 700억 달러 자산 관리 규모와 규제 준수 강화를 기반으로 시장의 주목.
  • 서클(Circle)의 IPO 신청에 이어, 암호화폐 업계에 또 다른 대규모 상장 임박.

암호화폐 수탁 전문 기업 비트고(BitGo)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클래스 A 보통주에 대한 기업공개(IPO) 등록을 비공개로 신청했다. 이는 디지털 자산 시장의 제도권 진입을 본격화하는 것이다. 이번 IPO 신청은 서클(Circle)이 미국에서 기업공개를 신청한 이후, 암호화폐 업계에 또 다른 대규모 상장 사례가 될 수 있어 업계의 이목을 끈다.

비트고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IPO 문서를 비공개로 제출했다. 이러한 방식은 민감한 재무 정보와 내부 자료를 시장에 노출시키지 않고, 규제 요건 충족 절차를 우선하는 전략이다. 이는 불필요한 추측을 막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와 협의해 법적 리스크를 최소화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또한, 자산 보호와 보안 기술 분야에서 비트고가 규제 준수를 위해 기울여온 노력은 이번 IPO 절차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비트고는 자사가 관리하는 700억 달러 이상의 자산을 기반으로 시장 내 독보적인 역할을 지속해서 강화하고 있다.

한편, 이번 IPO는 현재 미 의회에서 논의 중인 '지불 스테이블코인 명확성 법안(Clarity for Payment Stablecoins Act)'에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 법안이 통과되면 디지털 자산 시장에 대한 신뢰가 높아져 기관 투자자들의 유입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록 비트고가 스테이블코인을 직접 발행하지는 않지만, 암호화폐 시장 전반의 규제 명확성이 높아지면 커스터디 서비스 기업으로서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비트고의 IPO 추진은 디지털 자산 시장 활성화의 주요 계기가 될 수 있다. 앞서 IPO를 신청한 서클의 경우, USDC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로서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반면 비트고는 커스터디 서비스에 중점을 두며 자사만의 강점을 부각하는 전략을 이어간다. 특히 과거 갤럭시 디지털(Galaxy Digital)과의 인수 합병이 무산된 이후 독립적으로 IPO를 추진한다는 점은 비트고의 시장 가치와 성장 가능성을 자신감 있게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번 비공개 IPO 제출 전략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 규제 요건을 충족한다면, 비트고는 디지털 자산 시장의 신뢰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할 것으로 전망된다. 앞으로 비트고가 시장 경쟁과 규제 변화 속에서 어떤 전략을 내놓을지는 디지털 자산 산업의 방향성을 예측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다.

21일 코인마켓캡(CoinMarketCap)에 따르면 USDC는 0.033%의 거래량 변동을 기록하며 1달러의 고정 가격을 유지 중이다. 안정적인 흐름은 디지털 자산 시장의 신뢰성과 지속성을 반영하는 지표로 기능한다.

기사 정보
카테고리
법률/폴리시
발행일
2025-07-21 15:16
NFT ID
551
뉴스 NFT 상세
최신소식을 메일로 받아보세요.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