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WA가 온다? Professor Jo가 본 홍콩 웹3 페스티벌 2025 핵심 트렌드

2025-04-10 23:37

홍콩 웹3 페스티벌 2025에서 Professor Jo가 주목한 핵심 트렌드는?

비트코인 채굴 환경에 어떤 변화가 있었나?

중국 투자자들이 'VC 토큰'보다 '밈코인'을 선호하는 이유는?


RWA가 온다? Professor Jo가 본 홍콩 웹3 페스티벌 2025 핵심 트렌드

출처: 언블록미디어

- 홍콩 웹3 페스티벌 2025, 8만 명 이상 방문, 250여 개 전시 부스 개최하며 성료 - Professor Jo, 비트코인 채굴 환경 변화 분석과 더불어 홍콩 금융당국의 RWA 실험 성공을 통한 RWA 분야 확산 전망 인사이트 공유 [Unblock Media] 홍콩 웹3 페스티벌 2025가 4월 6일부터 9일까지 홍콩 컨벤션 및 전시 센터(HKCEC)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되어 8만 명 이상의 방문객과 250여 개 전시 부스, 300개 이상의 사이드 이벤트를 기록하며 웹3 및 블록체인 분야의 혁신과 미래 전망을 선보였다. Professor Jo(@0xProfessorJo)는 10년간의 인수 금융 경력을 바탕으로 디파이와 블록체인 혁신 분야에서 활약해온 영향력 있는 KOL(일명 "디파이 농부 조선생")로 X(구 트위터)를 통해 이번 홍콩 웹3 페스티벌에서 나온 핵심적인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홍콩 금융관리국의 핀테크 수장 George Chou가 2024년부터 20개 이상의 자산을 규제 샌드박스 내에서 성공적으로 실험했다고 전한 점을 인용하며, “이제 투자사들과의 협력을 통해 RWA 분야가 본격적으로 확산될 것”이라는 자신감을 밝혔다. 홍콩 금융당국에 따르면, 이 실험에는 상업용 부동산과 오피스 빌딩의 임대 수익을 디지털 토큰으로 전환해 투자자에게 분산 투자 기회를 제공한 사례, 미술품과 조각품 등 고가 자산을 NFT로 전환하여 투명한 소유권 거래와 유동성을 확보에 성공한 사례, 그리고 에너지 발전 시설 일부를 토큰화해 장기 수익 모델을 구축한 사례 등이 포함되어 디지털 자산 시장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전망이다. Professor Jo는 “고점은 지난듯한 비트코인”이라는 트윗에서 2024년 말부터 2025년 초까지 채굴자들이 비트코인을 담보로 한 대출을 활용하여 채굴 시설 증설에 나선 결과, 미국의 Glassnode와 CryptoQuant 자료에 의하면 해시레이트가 15% 이상 상승하고 대출 규모가 전년 대비 20%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데이터는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보안과 채굴 난이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최근 채굴업이 미국과 에티오피아로 이동하고 러시아에서는 대형 에너지 기업 가즈프롬이 채굴에 뛰어들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Professor Jo는 “알트코인 사줄 국가는 한국뿐”이라는 트윗에서 중국 리테일 투자자들이 ‘VC 토큰’보다 ‘밈코인’을 공정한 게임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밈코인 거래소 GMGN이 큰 성장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보충자료에 의하면, 2020~2021년에 자금을 모집한 중화권 크립토 VC들이 2025년 펀드 청산을 앞두고 보유 중인 알트코인을 매도하는 상황과 함께 디파이 결제 시스템 ‘X-Pay’가 IPO 준비 단계에 들어섰으며, 일부 알트코인 프로젝트는 NFT와 결합된 모델을 도입해 투자자가 디지털 자산 소유권과 커뮤니티 참여를 동시에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단순 투자 상품을 넘어 실제 수익 창출과 B2B 사업 모델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Professor Jo는 마지막으로 바이낸스의 CZ가 AI 에이전트를 활용해 거래를 용이하게 만드는 솔루션을 탐색 중이며, BNB 생태계 내 일부 프로젝트에 대해 개발 방향성 가이드를 제공하는 등 전통 금융과 블록체인 기술 간 경계를 허무는 혁신적 시도가 돋보인다고 평가했다. 이번 행사는 Professor Jo의 날카로운 인사이트와 함께, 실물 자산 토큰화 사례, 비트코인 채굴 대출 및 해시레이트 상승, 그리고 알트코인 투자 전략과 NFT 결합 모델, 그리고 AI 에이전트를 활용한 거래 혁신 등 주요 이슈를 핵심적으로 다루어 디지털 자산 시장의 미래를 예고했다. 투자사 및 글로벌 전문가들은 이번 행사를 통해 웹3와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 가능성과 실질적인 혁신 모델에 대한 깊은 통찰을 얻었으며, 앞으로 이 분야가 더욱 확산될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기사 정보
카테고리
웹3
발행일
2025-04-10 23:37
NFT ID
340
뉴스 NFT 상세
최신소식을 메일로 받아보세요.

추천 뉴스

Chat with AI agents

unblock media floating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