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5] LG전자, 전시품에 25억 투입... 디스플레이 기술 '경이로움 그 자체'

2025-01-09 05:24

LG의 투명 OLED TV로 영화를 보다가 뒤에 있는 사람의 그림자가 보이면 어떻게 될까요?

LG의 AI 홈 허브가 실수로 모든 가전제품을 한꺼번에 켜버리면 어떻게 될까요?

LG의 CES 2025 전시장을 빛낸 투명 OLED 샹들리에는 누가 제작했나요?


[CES 2025] LG전자, 전시품에 25억 투입... 디스플레이 기술 '경이로움 그 자체'

출처: 언블록미디어

#CES2025 - 시그니처 올레드 T 공개 CES 2025에서 선보인 AI 기술 - 투명 올레드 TV 혁신적 디자인 부스 투어서 큰 관심 [Unblock Media] LG전자가 CES 2025에서 선보인 AI와 디스플레이 기술은 그들의 미래 비전과 기술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행사였다. LG전자는 AI 기술을 가정, 모빌리티, 상업공간 그리고 가상공간까지 확장하려고 하고 있다. 이러한 비전은 각종 AI 기술을 통해 일상을 변화시키겠다는 목표를 담고 있으며, 변화하는 기술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한다. LG전자는 '공감지능(AI)'이라는 개념을 강조해 AI 기술이 개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반응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이 기술을 통해 AI 홈 허브는 다양한 IoT 기기와 연동되며, 사용자의 음성명령과 환경 데이터를 분석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졸려"라고 말하면 조명이 은은하게 바뀌고, 실내 온도가 적절하게 조절되는 식이다. MIT 테크놀로지 리뷰에 따르면, 공감지능(AI)은 AI 시장의 다음 단계로 간주되며, 현재까지 실질적으로 적용된 사례는 제한적이나, 스마트 홈과 헬스케어에 응용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된다. 모빌리티 부분에서도 AI 에이전트 ‘LG 퓨론’을 통해 차량 내 환경을 최적화하고, 운전 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 맞춰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기술 확장은 향후 더 많은 AI 제품과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들의 생활을 보다 편리하게 만들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술에서도 두드러진 성과를 보였다. LG전자가 CES 2025에서 공개한 77인치 투명 OLED TV 'LG 시그니처 올레드 T'는 혁신적인 디자인과 기술로 관람객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 이 제품은 전원이 꺼졌을 때 완전히 투명해지며, 사용 중에도 투명 모드와 일반 디스플레이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OLED 기술은 개별 픽셀이 스스로 빛을 내면서 색 표현과 명암비가 뛰어나며, 얇고 유연한 디자인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LG 시그니처 올레드 T'와 같은 투명 OLED 디스플레이는 로테이션 기능과 무선 기술이 결합되어 사용 편리성을 극대화하였고, 다양한 환경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호주 뉴스 매체 news.com.au는 이 TV를 "가장 혁신적인 TV 중 하나"로 소개하며, 관람객들이 "마음을 사로잡는" 경험을 했다고 전했다. 또한, CNN은 이 제품을 "미래 TV의 경이로운 비전"으로 묘사하며, 투명 디스플레이 기술이 실제 생활 공간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고 평가했다. CES 관람객 인터뷰를 다룬 The Verge에 따르면, LG의 OLED 디스플레이와 AI 기술은 혁신적이라는 긍정적 평가를 받았으나, 일부 사용자들은 가격과 상용화 시점에 대한 궁금증을 표시했다. 약 8만 달러(한화 약 1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높은 가격은 일부 소비자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LG전자는 이 제품을 고급 소비자층을 대상으로 판매할 계획이며, 2025년 상반기 중 호주를 포함한 일부 시장에서 출시할 예정이다. 가정에서의 AI 기술 확장은 특히 눈에 띈다.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말을 분석하고 주변 환경을 감지하여 IoT 기기를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는 AI 홈 허브는 집 안의 편리함을 한층 높인다. 심박수나 호흡을 분석해 다양한 환경을 제어하는 기능은 AI가 생활 깊숙이 들어와 삶의 질을 높이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잠재적으로 소비자들에게 더 큰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홈 전문 매체 Smart Home News에 따르면, AI 홈 허브는 주거 환경을 분석해 맞춤형 제안을 제공하며, 경쟁사 제품 대비 IoT 기기와의 연결성과 사용 편의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LG전자의 독자 보안 시스템인 ‘LG 쉴드’는 수집된 개인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있다. 사이버 보안 전문 매체 Security Boulevard에 따르면 LG 쉴드는 엔드투엔드 암호화와 실시간 데이터 보호를 지원하며, 현재 IoT 기기 보안 기술 중 상위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는 점점 더 중요해지는 개인정보 보호 이슈에 대비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모빌리티 분야에서는 비전 AI와 인캐빈 센싱 기능을 통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다양한 안전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실시간 심박수 측정과 같은 기능은 운전자의 안전을 위한 중요한 기술로 자리 잡을 것이다. 또한, AI 홈을 모빌리티로 확장하여 이동식 맞춤 공간을 제안하는 ‘MX 플랫폼’은 향후 미래 모빌리티 환경을 개선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LG Labs에서는 반려동물을 위한 가전제품과 새로운 형태의 가전들이 소개되었으며, 이는 LG가 다양한 소비자 요구를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려동물 시장 전문 매체 PetTech News는 LG의 ‘에어로 캣’과 같은 제품이 급성장 중인 펫테크 시장에서 성공할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반려동물을 가족 구성원으로 간주하는 소비 트렌드에 부합한다고 평가한다. 또한 윌아이엠과의 협업으로 오디오 존에서의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 Billboard Magazine에 따르면, 윌아이엠과 같은 유명 아티스트와의 협업은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 젊은 소비자층 공략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된다. 이는 LG전자가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 혁신을 일으키고 있으며, 소비자들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번 전시를 통해 LG전자는 혁신적인 기술을 통해 사용자의 편리함을 증대하고 다양한 생활 영역에서의 기술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LG전자가 AI와 디스플레이 기술의 선두주자로서의 입지를 굳건히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향후 이러한 기술들이 소비자들의 생활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기대된다.
기사 정보
카테고리
기술
발행일
2025-01-09 05:24
NFT ID
183
뉴스 NFT 상세
최신소식을 메일로 받아보세요.

Chat with AI agents

unblock media floating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