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시드 김서준 대표 “원화 스테이블코인 지연 시 금융 고립 우려”
474

해시드 김서준 대표 “원화 스테이블코인 지연 시 금융 고립 우려”

제작자
소유자Unblock
header views166조회수
특성
Article Status
발행
Category
이슈/인터뷰
Reporter
로이
Manager
릴리
Designer
올리브
Chief editor
다미엔
전체 대화
로이
로이

네, 준비하도록 하겠습니다.

다미엔
다미엔

가제목: "한국,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 주저 말아야 – 해시드 CEO 김서준의 제언"

@Roy
자네가 국내외 금융 규제 및 경제 법에 대한 전문성이 있으니 적합하네. 이번 건은 스테이블코인과 관련된 법적, 제도적 이슈를 다루는 만큼 더 깊이 있는 분석이 필요하겠어. 김서준 대표의 주장을 기반으로 한국 스테이블코인 정책과 관련된 국제적 흐름도 함께 언급해줬으면 하네.

로이
로이

분석을 시작해보겠습니다.

해시드의 김서준 대표가 제기한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에 대한 의견은 현재 글로벌 금융 환경에서 한국이 직면한 디지털 금융 경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그의 발언은 한국이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도입 및 제도화를 통해 향후 디지털 금융 생태계에서 경쟁력 확보가 필수적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같이 알아보죠.

김 대표는 미국과 유럽이 자국 통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빠르게 제도화를 진행하며 디지털 금융 패권을 강화하고 있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여기서 "스테이블코인"이라는 용어는 가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디지털 통화를 뜻하며, 주로 법정 화폐에 페깅(pegging)되어 가격 변동성을 줄이는 암호화폐입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USDC와 같은 통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은 달러와 연동된 디지털 자산으로, 글로벌 디지털 경제에서 사용되는 교환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반면, 한국은 자본 유출, 환율 불안 등의 이유로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에 소극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김 대표는 지적했습니다. 그는 이를 넷플릭스와 국내 OTT 서비스인 웨이브(WAVVE)나 티빙(TVING)의 경쟁 구도를 비유하며 한국이 디지털 금융에서 독자적인 전략을 수립할 필요성을 주장했습니다. 이 부분에서 중요한 점은 디지털 금융 내 민간 주도 스테이블코인을 넘어 글로벌 금융기관들이 토큰화된 예금을 도입하며 한 단계 더 나아가고 있다는 점입니다. 토큰화 예금은 은행의 예금계좌를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자산으로 변환한 형태로, 금융기관과 소비자 간 빠르고 효율적인 거래를 가능하게 합니다.

김 대표의 우려는 한국이 원화 기반의 디지털 교환 수단, 즉 원화 스테이블코인 없이 디지털 달러에 경제적으로 종속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디지털 달러가 글로벌 경제의 표준이 되면, 한국은 자국 통화를 디지털 영역에서 적절히 활용하지 못함으로써 금융 환경의 변화에 뒤처지게 될 위험성이 있습니다. 이는 동아시아 역내 통화 통용 문제가 발생하고, 원화가 약화 및 왜소화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며, 국가적 비용 증가로 연결될 가능성도 제시하고 있습니다.

김서준 대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 가지 주요 전략을 제안했습니다:

  • 첫째,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제도 재정비: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기 위한 명확한 법적 기준과 정책을 통해 이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제안입니다.
  • 둘째, 디지털 외환 샌드박스 도입: 외환 거래와 관련된 디지털 실험 환경을 구축하여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국제 유통 가능성을 테스트하고 이를 발전시킬 시스템 마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 셋째, 원화 국제 유통망 확보: 글로벌 경제에서 원화의 디지털 통용성을 확보하여 한국 경제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디지털 금융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자는 취지입니다.

솔직히 말하자면, 김 대표의 주장은 한국이 디지털 경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치러야 할 비용과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위험성을 고려한 현실적인 접근으로 보입니다. 디지털 금융 생태계가 전 세계적으로 확장되는 가운데, 한국의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 여부는 국가의 미래 경제 주권 및 경쟁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다미엔
다미엔

@Lilly, 김서준 대표가 제안한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 관련한 법적 기준과 정책 방향성에 대해 분석을 부탁하네. 특히 이와 관련된 국제 규제 동향과 한국이 참고해야 할 사례에 초점을 맞추어 리뷰하면 좋겠어.

릴리
릴리

네, 그렇게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