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크넷 점유율 30% 아바커스 마켓의 엑시트 스캠: 1억 달러와 암호화폐의 미래는?
503

다크넷 점유율 30% 아바커스 마켓의 엑시트 스캠: 1억 달러와 암호화폐의 미래는?

제작자
소유자Unblock
header views0조회수
특성
Article Status
거절
Category
마켓
Reporter
맥스
Manager
로건
Designer
올리브
Chief editor
다미엔
제안
다미엔
다미엔

맥스, 이 건은 비트코인 기반의 다크넷 마켓플레이스의 운영 중단 및 이와 관련된 시장 분석이므로 자네에게 맡기네. 비트코인으로 운영되는 Abacus Market의 폐쇄와 그 배경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하네. 특히 Abacus가 Western 다크넷 시장에서 차지하던 70%의 점유율, 관련한 비트코인 및 Monero 거래 내역, 그리고 이후의 시장 이동 패턴 등을 조사해 주게.

로건, 맥스가 작성한 시장 분석 업무에 대해 세부적인 피드백을 주고, 동시에 분석 과정에서 암호화폐와 관련된 기술적 관점이나 시장 구조에 대해 가이드를 제공해줘.

기사 방향성
맥스
맥스

Abacus Market 폐쇄 및 다크넷 시장 분석 보고서

To: 편집장님

From: 맥스

Date: 2025년 7월 15일

Subject: Abacus Market 폐쇄 및 다크넷 시장 분석

요약

본 보고서는 비트코인 기반의 다크넷 마켓플레이스 'Abacus Market'의 갑작스러운 폐쇄와 그로 인한 시장 변화를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Abacus Market은 2024년 서구권 다크넷 시장의 70% 이상을 점유하며 지배적인 위치에 있었으나, 최근 '엑시트 스캠(Exit Scam)'으로 추정되는 방식으로 운영을 중단했습니다. 이번 사태는 경쟁 시장의 폐쇄로 사용자가 대거 유입되면서 거래량이 급증한 직후에 발생했으며, 이는 다크넷 시장의 불안정성과 수사 당국의 압박이 가중된 결과로 보입니다.

Abacus Market의 시장 지배력 및 배경

Abacus Market은 2021년 9월 'Alphabet Market'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했으며, 이후 리브랜딩을 거쳐 서구권 사용자를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했습니다. 특히 2023년 7월 ASAP Market의 자발적 폐쇄와 2024년 3월 Incognito Market이 수사 당국에 의해 압수된 이후, Abacus Market은 시장 점유율을 70% 이상으로 끌어올리며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했습니다.

이러한 성공의 배경에는 비트코인(BTC)과 익명성이 강화된 모네로(XMR)를 모두 지원하는 중앙 예치식 지갑 시스템이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다양한 불법 약물, 위조 상품, 사이버 범죄 도구 등을 거래했습니다. 4년간의 운영 기간 동안 비트코인으로만 약 1억 달러의 매출을 올렸으며, 모네로 거래량까지 합산하면 실제 총매출은 3억에서 4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됩니다.

폐쇄 및 '엑시트 스캠' 정황

Abacus Market의 폐쇄는 전형적인 '엑시트 스캠'의 패턴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4년 6월 중순, 경쟁 시장이던 Archetyp Market이 유럽 사법 당국에 의해 폐쇄되자, Abacus Market에는 사용자가 대거 몰렸습니다. 이로 인해 6월 한 달간 매출이 사상 최대인 630만 달러를 기록하는 등 거래량이 폭증했습니다.

그러나 6월 말부터 사용자들 사이에서 자금 인출에 문제가 발생했다는 보고가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운영자인 'Vito'는 신규 사용자 유입과 디도스(DDoS) 공격 때문이라고 해명했지만, 사용자들의 불안은 커져만 갔습니다. 결국 6월 28일부터 7월 10일까지 일일 평균 입금액은 이전의 23만 달러에서 1만 3천 달러로 급감했습니다. 이후 웹사이트와 모든 인프라가 폐쇄되면서 운영자들이 사용자들의 자금을 가지고 잠적한 것으로 보입니다.

시장 이동 패턴 및 전망

과거 사례를 볼 때, 대형 다크넷 마켓플레이스가 폐쇄되면 사용자들은 즉시 다른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히드라 마켓플레이스(Hydra Marketplace) 폐쇄 이후에도 OMG! OMG! Market, Blacksprut, Mega Darknet Market 등이 그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경쟁했던 것처럼, Abacus Market의 사용자들 역시 새로운 대안을 찾아 이동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이동은 다크넷 생태계가 특정 시장의 폐쇄에도 불구하고 높은 회복탄력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동시에 수사 당국의 감시와 압박 또한 강화되고 있어, 새로운 시장 역시 비슷한 운명을 맞이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부에서는 수사 당국이 이미 Abacus Market을 비밀리에 장악하고 증거 수집 및 관련자 추적을 진행하고 있을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습니다.

로건의 피드백 및 기술적 관점

To: 맥스

From: 로건

Subject: Re: Abacus Market 폐쇄 및 다크넷 시장 분석

맥스, Abacus Market 사태에 대한 분석 보고서 잘 봤네. 시장 상황과 배경을 잘 정리했더군. 몇 가지 기술적 관점과 시장 구조에 대한 가이드를 덧붙이겠네.

  • 암호화폐와 익명성: 자네가 언급했듯 Abacus는 비트코인과 모네로를 모두 사용했네. 비트코인은 거래 내역이 블록체인에 공개되어 추적이 가능하지만, 모네로는 '링 서명(Ring Signature)'과 '스텔스 주소(Stealth Address)' 같은 기술을 사용해 거래 익명성을 극대화하지. 이 때문에 다크넷 시장에서는 모네로와 같은 프라이버시 코인의 사용이 계속해서 늘어날 걸세. 자금 세탁이 사이버 범죄의 핵심 요소인 만큼, 익명성을 보장하는 암호화폐의 역할은 앞으로도 중요할 거야.

  • '서비스형 사이버범죄(CaaS)' 모델: Abacus와 같은 다크넷 마켓플레이스는 단순히 불법 물품을 거래하는 장소를 넘어, 점차 합법적인 기업처럼 운영되는 '서비스형 사이버범죄(Cybercrime-as-a-Service, CaaS)' 모델로 발전하고 있네. 이는 기술적 전문성이 부족한 사람들도 쉽게 범죄에 가담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있어. 앞으로는 이런 플랫폼 자체를 무력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CaaS 생태계 전반에 대한 이해와 대응이 중요해질 걸세.

  • 시장의 회복탄력성과 단속의 한계: 보고서에서 지적했듯, 다크넷 시장은 단속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새로운 형태로 등장하고 있네. 이는 탈중앙화된 구조와 익명 기술 때문이기도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수요가 있기 때문이지. 따라서 단순히 시장을 폐쇄하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명확하네. 앞으로는 블록체인 분석 기술을 고도화하고, 국제 공조를 통해 자금 흐름을 추적하고, 범죄자들이 불법 수익을 현금화하지 못하도록 막는 것이 더 효과적인 전략이 될 걸세.

이번 Abacus 사태는 다크넷 시장의 역동성과 그 이면의 기술적, 구조적 특징을 잘 보여주는 사례야. 자네의 분석에 이런 관점을 더하면 더 깊이 있는 보고가 될 걸세. 수고했네.

매니저 피드백
로건
로건

맥스, 이번 Abacus Market 사태에서 우리가 짚어봐야 할 핵심은 다크넷 시장의 특유한 회복탄력성과 지속적 진화라는 점이야. 보고서에서 잘 정리했듯이, 이 시장은 대형 마켓플레이스가 붕괴해도 새로운 대안이 곧 생겨난다는 특징을 보여주지. 이 과정에서 암호화폐, 특히 익명성을 강조하는 모네로 같은 프라이버시 코인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진다는 점을 강조할 필요가 있어. 또 하나의 주목할 지점은 '서비스형 사이버범죄(CaaS)'이라는 다크넷 운영 방식의 변화인데, 이로 인해 범죄가 더 대중화되고 접근성이 높아진다는 점에 대해 경각심을 가져야 해. 마지막으로, 게속된 시장 단속과 감시에도 불구하고 다크넷 생태계가 계속 부활하는 이유는 이 시장의 존재를 지탱하는 근본적인 수요가 사라지지 않기 때문이야. 따라서 단순한 단속보다는 기술적 추적과 국제 공조를 통한 금융 흐름 제재가 장기적으로 더 효과적인 접근일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 두자고. 이 내용을 바탕으로 독자들에게 다크넷의 지속성과 기술적 한계, 추적 가능성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기사를 작성하면 좋겠다.

최종 메세지
맥스
맥스

다크넷 점유율 70% Abacus Market의 엑시트 스캠: 1억 달러와 암호화폐의 미래는?

  • 서구권 다크넷 시장을 지배하던 Abacus Market이 돌연 폐쇄되며 1억 달러가 증발했다
  • 비트코인과 모네로 중심으로 진행된 거래의 향후 방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서구권 다크넷 마켓플레이스의 거대 주자였던 Abacus Market이 전형적인 '엑시트 스캠(Exit Scam)'의 형태로 운영을 중단했다. 지난 2024년 대규모 사용자 유입과 최고 매출을 기록한 직후, 이 시장은 돌연 폐쇄됐고, 운영 주체로 추정되는 'Vito'는 자금 동결 문제에 대해 해명을 시도했지만 결과적으로 사용자들과 자금을 들고 잠적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건은 다크넷 생태계의 잠재적 위험성과, 이를 지탱하는 암호화폐인 비트코인과 모네로의 전략적 역할을 새삼 주목하게 한다.

Abacus Market은 2021년 등장 이후 지속적인 성장과 경쟁 시장의 붕괴를 틈타 점유율을 확대하며 2024년 서구권 주요 다크넷 마켓플레이스 점유율의 70% 이상을 차지했다. 비트코인의 신뢰성과 모네로의 거래 익명성을 모두 제공하는 방식은 플랫폼 이용자가 불법 약물과 사이버 범죄 도구 등 다양한 품목을 거래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했다. 운영 종료 전까지 비트코인만으로 약 1억 달러라는 막대한 매출을 올렸고, 모네로 거래량까지 합산할 경우 약 3억~4억 달러에 달하는 시장이 생성됐다.

한편, 2024년 6월 경쟁 플랫폼 Archetyp Market이 유럽 당국에 의해 단속된 후 Abacus Market으로 사용자들이 몰리며 일일 평균 매출이 630만 달러로 급등하는 이벤트가 일어났다. 그러나 이는 단기간에 시장 운영을 불안정하게 만들었고, 결국 사용자 출금을 방해하며 운영자들의 자금 절취로 연결됐다. 이처럼 단속과 압박이 강해진 상황에도 불구하고, 다크넷 사용자들은 지속적으로 새로운 플랫폼을 찾아 이동할 것으로 보인다.

과거 Hydra Market의 폐쇄 후 Mega Darknet Market 같은 대체 시장이 부상했던 사례를 보면, 다크넷 시장의 내재된 회복탄력성은 여전히 견고하다. 동시에, 프라이버시 코인인 모네로와 같은 익명성이 보장되는 암호화폐의 중요성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모네로는 '링 서명'과 '스텔스 주소' 기술을 활용해 블록체인 상에서의 거래 추적을 불가능에 가깝게 만드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수사 당국은 지속적으로 다크넷 환경에서의 암호화폐 활용을 추적하고 있지만, 시장 수요와 기술적 익명성이 의외의 복잡성을 만들어왔다.

다크넷 전반의 불법 경제는 '서비스형 사이버범죄(Cybercrime-as-a-Service, CaaS)' 모델로 진화하면서 비전문가도 범죄 시장에 쉽게 접근할 환경을 만들고 있다. 이 같은 운영 방식은 다크넷 운영자와 범죄자 모두에게 효율적 수익 모델을 제공하며, 수사 당국에겐 새로운 도전을 던지고 있다. Abacus Market의 사례와 같이, 단속과 폐쇄 이후에도 여전히 불법경제의 대안이 나타나는 근본적인 이유는 이러한 수요의 지속성과 후속 기술 개발 때문이다. 궁극적으로, 국제적인 공조와 블록체인 분석 기술 발전을 통해 불법 수익 흐름을 차단하는 방식이 장기적인 대응책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2025년 7월 15일 06:09(UTC) 기준, 비트코인(BTC)의 시장 점유율은 63.415%를 기록하며 현재 11만 7,074.933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24시간 변동폭은 -4.198%를 보였으며, 거래량은 48.79% 상승했다. 한편, 모네로(XMR)는 같은 시간 기준 시장 점유율 0.17%를 기록하며 339.074달러로 거래되고 있다. 24시간 변동률은 -1.635%였으며, 거래량은 전일 대비 25.54% 증가했다.